-
마인크래프트 대상선정 인자 사용법 [type limit sort tag name distance team level scores x_rotation y_rotation nbt advancements Predicate x y z dx dy dz] #2마인크래프트 명령어 2020. 12. 15. 03:11
2편 시작합니다.
distance
distance 는 기준 좌표에서 지정한 거리만큼의 반지름으로 가상의 구체를 그리고 그 범위 안에 포함된 대상을 선택합니다.
/tp @e[distance=3] ~ ~ ~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준 좌표는 명령어를 사용한 대상의 좌표입니다.
1편에서 설명한 구간 값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 3 / ..3 / 3..5 처럼 사용 하시면 됩니다.
x_rotation
x_rotation 은 지정한 수직 시점에 해당하는 대상을 선택합니다.
/tp @e[x_rotation=0..30] ~ ~ ~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에도 구간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90 (위) ~ 90 (아래) 까지의 값을 갖습니다. (0 = 정면)
y_rotation
y_rotation 은 지정한 수직 시점에 해당하는 대상을 선택합니다.
/tp @e[y_rotation=0..90] ~ ~ ~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에도 구간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80 ~ -180 까지의 값을 갖습니다. ( 0= 남쪽 / -90= 동쪽 / 90 = 서쪽 / 180 또는 -180 = 북쪽)
nbt
nbt는 지정된 값과 일치하는 nbt를 가진 대상을 선택합니다.
nbt는 기본적으로 {} 중괄호를 필수로 써주셔야 합니다.
대문자와 소문자를 꼭 구분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tp @e[nbt={NoGravity=1b}] ~ ~ ~
처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보다 편하게 NBT 값을 편집하시려면 아래 사이트를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dx dy dz
dx dy dz는 distance와 비슷한 개념인데, 이건 가상의 사각형을 그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준 좌표로부터 지정된 값만큼 더한 위치까지의 범위에 속한 대상이 선택됩니다.
/execute at 닉네임 run tp @e[dx=7,dy=7dz=7]
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플레이어 좌표를 기준으로 각 방향별로 7씩 더한 좌표까지가 범위로 설정됩니다.
advancements
advancements는 지정된 값과 발전과제의 달성 여부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대상으로 선택합니다.
advancements 또한 값이 식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 중괄호를 꼭 써주셔야 합니다.
/tp @a[advancements={minecraft:adventure/summon_iron_golem=true}]
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철골렘 생성 발전과를 완료했다면 대상에 선택한다는 명령어 입니다.
Predicate
Predicate는 데이터 팩의 일부인 Predicate 파일의 내용을 이용하여
대상 선택 인자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인자입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추후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내용을 영상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인크래프트 명령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P 명령어 사용법 [마인크래프트 명령어의 기초 #4] (1) 2020.12.29 /kill 명령어 사용법 [마인크래프트 명령어의 기초 #3] (5) 2020.12.15 마인크래프트 대상선정 인자 사용법 [type limit sort tag name distance team level scores x_rotation y_rotation nbt advancements Predicate x y z dx dy dz] #1 (0) 2020.12.11 마인크래프트 대상선정 하는법 [@a @e @p @r @s] (1) 2020.12.11 마인크래프트 좌표 보는법 [자바에디션] (0) 2020.12.11